목록Data Engineering/AWS (13)
코딜기

※ 이 글은 맥북이나 리눅스 환경에서 진행됩니다.SSH를 통한 EC2 인스턴스 접속터미널에 접속을 하고, 아래 명령어를 사용해서 인스턴스에 연결을 합니다.ssh -i [.pem 파일 저장 위치] [User id]@[퍼블릭 ip 주소 또는 DNS 주소]성공적으로 접속이 되었다면 인스턴스 정보와 명령어 헤더가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※ 퍼블릭 ip 주소와 DNS주소는 AWS 홈페이지 - EC2 인스턴스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※ 처음 .pem 키를 사용해서 인스턴스에 연결을 할 때 아래와 같이 .pem 파일의 퍼미션 경고가 나올 수 있습니다. -> .pem 파일의 퍼미션은 기본적으로 0644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400으로 바꿔줘야 성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chmod 400 [...

키페어(Key Pair)란?AWS는 비대칭키 방식을 이용하여 인스턴스 접근을 제어합니다.키페어는 EC2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된 파일입니다.발급받은 프라이빗 키를 이용하여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키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키페어 생성1. 키페어를 생성하기 위해 새 키 페어 생성을 눌러줍니다.2. 키페어의 이름과 유형, 파일 형식을 설정해 줍니다. ※ MAC이나 리눅스 이용자는 .pem을 선택해 주고, 윈도우 사용자는 .ppk를 선택해 줍니다. 3. 키페어가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었다면 .pem 파일 혹은 .ppk 파일이 자동으로 다운로드되고, 인스턴스 생성 시 키페어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. (파일은 잃어버리지 않게 잘 보관해야 합니다.)

EC2란?EC2는 AWS 내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.EC2를 통해 가상 서버를 구축하면 빠르게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.EC2는 사용할 인스턴스 유형, 운영체제 등을 선택할 수 있고, 메모리, CPU, 스토리지 크기 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※ EC2를 사용하기 위해 AWS에 가입을 하고, Free Tier 설정까지 마쳐야 합니다. ※ 모든 게시물은 AWS의 Free Tier 기준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.1. AWS 홈페이지에 로그인을 한 후 검색창에 EC2를 검색해서 EC2 대시보드로 이동해줍니다.2. 리전을 한국의 서울로 바꿔주고, 인스턴스 목록을 띄워줍니다.3. 인스턴스를 만들기 위해 인스턴스 시작을 눌러줍니다.4. 인스턴스의 이름과 운영체..